지식 듬뿍 2

> 볼수록 용산 > 지식 듬뿍 2

청소년기 아이의 거짓말 왜 그런 걸까요?

별다른 문제 없이 잘 성장하던 우리 아이, 갑자기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 왜 그런 걸까?

글. 이연정 순천향대학교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거짓말의 시작과 발달

만 2세가 되면 리모컨을 전화기처럼 사용하는 등 가상 놀이를 시작하며 참과 거짓에 대한 이해가 싹튼다. 대부분 아이는 만 2세가 지나는 무렵부터 작은 거짓말을 하게 되는데, 이를 발견했다고 해서 부모가 걱정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아이의 인지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성장하면서 아이들은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Theory of Mind)과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이 발달함에 따라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이 향상될수록 거짓말은 더욱 정교해지고 빈도도 증가하며, 만 12세경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이후 전전두엽이 발달하고 자기조절 능력이 강화되면서 미래를 예측하거나 사회적 규범을 이애하는 능력도 향상되어 거짓말은 점차 줄어든다. 결국, 자녀가 성장하면서 종종 거짓말을 한다는 것은 인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잘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청소년기 자녀가 거짓말을 할 때 부모의 대응 방법

초등학교 고학년 이후에는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이 여전히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청소년이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첫 번째는 부모의 징계를 피하기 위해서다. 부모가 금지한 행동 이후 혼나는 게 두려워, 금방 들킬 거짓말을 한다.
두 번째, 자율성을 갖기 위해서다. 부모가 자신을 지나치게 통제한다고 느끼면 독립성을 확보하려는 수단으로 거짓말을 한다.
세 번째, 또래 집단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친구 대부분이 게임기를 가지고 있을 때, 자신만 없는 것이 속상해서 거짓말을 하거나, 친구들에게 더 멋져 보이기 위해 연애 경험을 과장하는 등의 거짓말을 한다.
네 번째, 현재의 분위기를 깨지 않거나 더 큰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다. 솔직하게 말하면 상황이 악화된다고 판단할 때, 하얀 거짓말(White lie)을 하기도 한다.
다섯 번째, 반복적이고 장기간 지속되는 거짓말은 문제 행동과 관련될 수 있다. 이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일부라기보다는 행동 문제, 품행 장애, 또는 비행과 연관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할 수 있다.
청소년 자녀가 거짓말을 한다고 해서 부모가 과도하게 처벌하거나 행동을 지나치게 제한하면 오히려 더 많은 거짓말을 하며 부모와의 갈등도 더 깊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거짓말을 하는 청소년 자녀의 의도를 이해하고 자녀와 진지하게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화를 통해 자녀의 마음을 헤아리고, 필요하다면 나이에 맞게 자율성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한, 부모 자신도 청소년 시절을 돌아보며 보다 넓은 시각을 가지려 노력하고, 자녀와 함께 성장해 나가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호 예고 _ 5월호에는 ‘통풍’을 주제로 한 건강칼럼이 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