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1

> 살수록 용산 > 특집 1

새로운 변화의 시작!
한남3구역 재개발사업 ‘첫 삽’

2003년 뉴타운 지구 지정 22년만에 한남재정비 촉진지구 철거 착공
한남3구역 공사 본격화

한남3구역 위치도

철거 현장 사진

용산구는 지난 2월 26일,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붕괴 위험이 큰 위험 건축물 1동을 우선 철거하며, 2003년 뉴타운 지구 지정 이후 22년 만에 한남3재정비촉진지구의 철거 및 착공을 본격화했습니다. 이번 사업은 재정비촉진사업 중에서도 최대 규모로, 3월부터 재개발 구역 내 출입자 통제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구역 경계부에 펜스를 설치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일부 도로 통행이 제한될 수 있으나,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회도로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전체 건축물 철거는 4월 말경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며, 현재 이주 대상 세대 약 8,600세대 중 99.4%가 이미 이주를 완료했습니다. 남은 30세대도 올해 상반기 중으로 이주가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안전사고 대비, 붕괴 위험이 큰 건축물 1동 철거 현장 모습

한남3구역, 2029년 미니 신도시급 아파트 단지로 변모

한남3구역 조감도

이번 한남3구역의 착공은 한남재정비촉진지구의 성공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용산구는 주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도시 재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특히, 한남3구역은 2029년까지 지하 7층·지상 22층 규모의 127개동(5,816세대) 주거단지와 판매시설을 갖춘 미니 신도시급 아파트 단지로 조성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용산은 더욱 살기 좋은 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주요 일정
· 2025년 3월부터: 구역 경계부 펜스 설치 및 지장물 이설작업 등
· 2025년 상반기: 이주 완료 및 구역 내 철거 실시
· 2025년 하반기: 철거 완료
· 2026년: 건축공사 착공
· 2029년: 준공 및 입주

한남재정비촉진지구 사업 추진현황

사업구역 면적(㎡) 호수 사업방식 추진단계 및 현황
총계 948,171.1 12,276
(1,854)
- -
재정비
촉진
구역
소계 844,619.9
한남
2구역
114,580.6 1,537
(238)
주택재개발 ’12. 6. 1.: 조합설립인가
’19. 11. 7.: 촉진계획변경(지구제척)
’21. 11. 26.: 사업시행계획인가
’22. 11. 5.: 시공자 선정(대우건설)
’24. 3.~ 5.: 조합원 분양신청
’24. 12. 23: 관리처분계획인가 신청 접수
한남
3구역
386,395.5 5,816
(876)
’12. 9. 4.: 조합설립인가
’14. 7. 3.: 촉진계획변경(기준용적률 상향)
’17. 6. 29.: 촉진계획 변경
’19. 3. 29.: 사업시행계획인가
’20. 6. 21.: 시공자 선정(현대건설)
’21. 4.~6.: 조합원 분양신청
’23. 6. 23.: 관리처분계획인가
’23. 10. 30.: 이주 개시
한남
4구역
159,936.8 2,331
(350)
’15. 1. 6.: 조합설립인가
’24. 12. 19.: 촉진계획변경
’25. 1. 18.: 시공자 선정(삼성물산)
한남
5구역
183,707.0 2,592
(390)
’12. 8. 22.: 조합설립인가
’24. 12. 19: 촉진계획변경

재정비사업과 재정비총괄팀
☎ 02-2199-7440

사람을 위한 개발과 공간
함께 살아가는 사회

2024년 10월 10일 마음건강사업 선포식

차량 증가 대비, 종합교통체계 개선 및 관리 방안 추진

개발로 인하여 증가할 차량에 대비해 ‘종합교통체계 개선 및 관리 방안 수립 용역’을 2023년부터 2024년까지 1년간 추진했습니다. 이번 용역을 통해 용산구의 교통 체계를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주민들의 교통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용역 결과: 2040년, 2023년 대비 교통량 42.6% 증가 · 개선 방안: 도로 신설, 도로 확장 및 교차로 개선, 삼각지 고가 차도 지하화 관련 종점부 연장 등

개발로 인한 주민들의 마음 건강 챙기기

용산구는 개발로 인해 삶의 터전과 이웃을 떠나보내야 하는 주민들의 마음 건강을 챙기는 데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지난해 7월 ‘마음건강 도시, 용산’ 선포: 4대 분야 17개 전략 사업 추진 · 마음정책 담당 부서: 팀에서 과 단위로 확대 개편(마음건강정책과) · ‘온 마음 숲 센터’ 올해 개소 예정: 생애주기별·계층별 프로그램 제공

종합교통체계 개선 및 관리방안 수립 용역 최종보고서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위한 다각적 노력

재개발 과정에서 남아있는 주민들의 불안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점검, 민·관·경 합동 야간순찰 그리고 무단투기 단속을 포함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주민들의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 환경을 지켜가겠습니다.

· 안전점검
- 건물 소유주의 보수 미루기 문제 해결을 위해 외부 전문가와 함께 긴급 점검 실시
- 위험 요소 발견 시 조합 측에 제거 요청하여 안전사고 예방

· 민·관·경 합동 야간순찰
- 한남3구역 빈집 증가로 주민 불안 해소 위해 용산구, 용산경찰서, 자율방범대 합동 순찰
- 총 50여 명, 2개 조로 나뉘어 무단 침입, 잠금장치 설치, 노후 건물 위험도 등 집중 점검

· 무단투기와 주거환경 관리
- 무단투기 문제 대응: ‘재개발 정비 구역 생활폐기물 처리 방안’ 마련
- 폐기물 처리: 무단투기 폐기물은 조합에서 처리, 적법 배출 쓰레기는 구에서 신속 수거
- 구청 합동 단속반 운영: 대형폐기물 미신고 배출 및 종량제 미사용 등 무단 투기 단속

한남3재정비촉진구역 민광경 합동 순찰 현장사진

한남3재정비촉진구역 쓰레기 무단투기 집중 단속 실시

약자와의 동행

약자와의 동행도 살폈습니다. 사회적 약자와 동물 보호까지 세심하게 배려하여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재개발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사회적 약자 지원
- 이주지원: 한남3구역 내 임대주택 신청 세입자 중 기준에 부합하는 분에 한해 원하는 지역으로 이사 지원
- 이사비 지원: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대상 가구당 최대 40만 원(2년 1회 실비 지급)
- 주거 안정 보장: 동절기 이주 및 철거 금지, 자진 이주 명도 소송 자제 요청

· 길고양이 보호 대책
- 임시 공공 급식소 20개소 설치 및 사료 지원
- 중성화 사업 우선 진행으로 개체 수 조절
- 재개발 구역 봉쇄 전 동물 이동 통로 마련
- 철거 전 물 뿌리기 및 땅울림으로 고양이 탈출 유도

한남3구역 재개발 지역 내 길고양이

한남3구역 임시 길고양이 공공 급식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