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건강

2025년 달라지는 국민기초 · 서울형 보장제도
2025년 달라지는 장애인급여
2025년 달라지는 보훈수당
용산구 국가보훈대상자 장례서비스
2025년 경로당 중식 주5일 확대 운영
용산구 보건분소 한방진료실 운영
2025년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확대 시행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용산구 암환자 가발 구입비 지원사업
임신부 및 배우자 백일해 무료 예방접종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정ˑ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사업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사업

2025년 달라지는 국민기초·서울형 보장제도

시행일


2025. 1. 1.


국민기초생활보장 선정기준 완화

(단위 : 원)
구분 1인 2인 3인 4인 5인
생계급여
(기준중위소득 32%)
765,444 1,258,451 1,608,113 1,951,287 2,274,621
의료급여
(기준중위소득 40%)
956,805 1,573,063 2,010,141 2,439,109 2,843,277
주거급여
(기준중위소득 48%)
1,148,166 1,887,676 2,412,169 2,926,931 3,411,932
교육급여
(기준중위소득 50%)
1,196,007 1,966,329 2,512,677 3,048,887 3,554,096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선정기준 완화

기준중위소득 48%이하 (‘맞춤형 주거급여’ 기준 준용)
(단위 : 원)
구분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서울형 기초보장제도
(기준중위소득 48%)
1,148,166 1,887,676 2,412,169 2,926,931 3,411,932 3,871,106

가구의 소득평가액에 따라 차등지급
(단위 : 원)
구분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최대지원 소득평가액 0 0 0 0 0 0
생계급여 382,730 629,230 804,060 975,650 1,137,320 1,290,370
최소지원 소득평가액 1,148,166 1,887,676 2,412,169 2,926,931 3,411,932 3,871,106
생계급여 127,580 209,750 268,020 325,220 379,110 430,130

신청방법 문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 ※ 보건복지부 복지로 (www.bokjiro.go.kr)를 참고

2025년 달라지는 장애인급여

장애인연금 지급금액 변경

대 상 자
18세 이상의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 중 배우자의 소득과 재산을 합산한 금액(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자
선정기준
단독가구 130만원 / 부부가구 208만원
지급금액
구 분 종전(2024년) 변경(2025년)
기초급여 · 334,810원
(감액이 없는 최고 지급액 기준)
· 343,510원
(감액이 없는 최고 지급액 기준)
부가급여 · 30,000원~424,810원 · 30,000원~433,510원
신청장소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
문 의 처
보건복지부 상담센터(국번없이 ☎ 129), 동주민센터

2025년 달라지는 보훈수당

주요내용

※ 수당별 지원 금액 및 자격 기준 상이
참전명예수당 지급액 인상
(‘24년) 월 15만원 → (‘25년) 80세 이상 유공자 월 20만원(인상)
(‘25년)80세 미만 유공자 월 15만원(현행 유지)
보훈예우수당 지급액 인상
(‘24년) 월 10만원 → (‘25년) 월 15만원
생활보조수당 지급대상 확대
(‘24년) 월 65세 이상 → (’25년) 전 연령
국가유공자 사망조의금 신설
(‘25년 신설) 20만원 지급
신청방법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
문 의 처
용산구 복지정책과 (☎ 2199-7044), 동주민센터 보훈담당

용산구 국가보훈대상자 장례서비스

사업개요

추진내용
국가보훈대상자 사망 시 유족에게 장례지도사 파견 및 근조기, 영정바구니, 유가족 편의용품, 장례도우미 지원
지원대상
사망일 기준 용산구 주민등록 국가보훈대상자
공통지원
근조기 배송 및 회수
선택지원
선택 1, 2번 중 유족이 선택
품 목 영정바구니(소) 2개 유가족 편의용품 장례지도사 파견
선택1 · 장례 1일차 1명
· 장례컨설팅 제공
· 장례용품 배송
품 목 영정바구니(대) 1개 장례도우미 파견
선택2 · 2일, 2인 제공
· 조문객 접대
· 빈소 청결관리 등
문 의 처
용산구 복지정책과(☎ 2199-7044)

2025년 경로당 중식 주5일 확대 운영

사업개요

기 간
2025. 1. 15. ~ 12. 15.
대 상
중식 주5일 희망 경로당
지원내용
중식 주5일을 운영하는 경로당에 부식비 및 양곡 추가 지원, 중식매니저‧중식도우미 배치
- 부식비 : 중식 인원에 따라 150천원 ~ 300천원 지원
- 양 곡 : 분기마다 수요조사하여 매달 경로당으로 배달
- 중식매니저 : 중식인원 15명을 기준으로 사회서비스형 1~ 3명 배치
- 중식도우미 : 경로당 규모에 따라 공익형 1~ 2명 배치
신청방법
중식 주5일을 희망하는 경로당은 대한노인회용산구지회에 신청
문 의 처
용산구 어르신복지과 (☎ 2199-4674 )

용산구 보건분소 한방진료실 운영

이용안내

운영시작
2025. 1. 2.
대 상
용산구민 누구나 ※ 65세 이상 어르신은 무료, 65세 미만 구민 1,100원
위 치
용산구 보건분소 3층 한방진료실 (용산구 백범로 329)
이용방법
용산구 보건분소 (화·목) / 보건소 (월·수·금) 지정요일제 순환진료
※ 한방진료 신청자가 많아 사전예약하신분 만 이용 가능합니다.
이용시간
매주 화·목요일 오전 9시~오후 6시
※ 점심시간 휴무 : 오전 12시~ 오후 1시
구비서류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진료항목
한방상담, 침술치료
예약문의
용산구 보건분소 (☎ 2199-6607)

2025년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사업 확대 시행

변경내용

변경내용
대상자 소득기준 확대
(종 전)기준 중위 소득 120% → (변경 후)기준 중위 소득 140% 이하
시 행 일
2025. 1. 1.부터 ~

이용방법

대 상
자치구 치매안심센터 치매환자 등록자로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을 받고자 하는 자 중 선정기준에 해당하는 자
지원내용
치매치료관리비 보험급여분 중 치매약제비 본인부담금, 약 처방 당일의 진료비
지원금액
월 3만원(연 36만원) 상한 내 실비 지원
문 의 처
용산구 치매안심센터 (☎ 790-1541)
용산구 치매안심센터 홈페이지 : https://yongsan.seouldementia.or.kr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사업개요 및 이용방법

사업기간
2025. 3. ~ 12.
사업대상
용산구민으로 65세 이상 어르신 ※ 미접종자
사업내용
관내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 대상포진 예방접종 실시
이용방법
신분증 지참하여 지정 위탁의료기관 방문
문 의 처
용산구 건강관리과 (☎ 2199-6056)

용산구 암환자 가발 구입비 지원사업

주요내용

지원내용
암환자 가발구입비의 90% 지원(최대 70만원 이하/1회에 한함)
신청자격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대상자(의료급여수급권자가 주 대상) 중, 항암치료에 의한 탈모로 가발이 필요한 자
지원절차

지원신청
-
보건소 방문 신청
(4층 보건의료과)
- 구비서류 제출
(영수증 및 의사 소견서)
가발 구입비 신청자
적격여부 검토
- 대상자 적합여부 확인
- 구비서류 검토
- 중복지원 확인
보건소 담당자
지원금 지급
- 가발 구입비 지급
보건소 담당자
시 행 일
2025년 1월 (조례제정일 이후 가발구입 건에 대하여 소급 지원)
문 의 처
보건소 보건의료과(☎ 2199-8102)

임신부 및 배우자 백일해 무료 예방접종

사업개요 및 이용방법

사업기간
2025. 1. ~ 12.
사업대상
용산구민으로 임신부 및 배우자
사업내용
관내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 백일해 예방접종 실시
이용방법
신분증 지참하여 지정 위탁의료기관 방문
문 의 처
보건소 건강관리과(☎ 2199-6056)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지원대상


관내 20~49세 남녀 중 검사 희망자(결혼, 자녀 여부 무관)


검사항목 및 절차

항목·금액
▴여성 13만원(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남성 5만원(정액검사, 정자정밀형태검사) 한도 내 실비 지원
1인당 주기별(29세이하, 30~34세, 35~49세) 1회 최대 3회
필수 가임력 검사비 및 지원금액 한도 내 진찰료, 기타 검사비 지원
지원절차
e보건소 온라인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검사의뢰서 발급 → 지정의료기관 검사 및 결과상담
→ 검사비 청구 및 지급
문 의 처
보건소 건강관리과(☎ 2199-8077)

정·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사업

지원대상

용산구민으로 영구피임 시술을 받은 자 중에서 정·난관 복원 시술로 자녀를 희망하는 자
(정·난관 복원 시술을 받은 해당연도 내 신청)

지원내용 및 절차

지원내용
정·난관 복원 시술관련 요양급여 비용 중 본인부담금 지원(생애 1회, 최대 100만원)
지원절차
임신출산정보센터 온라인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신청접수 및 자격확인, 지급결정 → 제출서류 확인 후 지원금 지급
문 의 처
보건소 건강관리과(☎ 2199-8077)
임신출산정보센터 : https://seoul-agi.seoul.go.kr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사업

이용방법 및 세부내용

사업내용
일정 금액의 바우처를 지원받아 농식품의 먹거리를 월단위 구매
- 사 용 처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지정 매장
- 구매품목 : 국산 과일류, 채소류, 흰우유, 신선알류, 육류, 잡곡류, 두부류
- 지원금액 : (1인가구) 월 4만원, (4인가구) 월 10만원
※ 7인가구 이상 145천원
신청자격
임산부·영유아·아동(만 18세 미만)이 있는 생계급여 수급가구
지원기간
2025. 3월 ~ 12월(예정)
신청방법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동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신청 가능 예정
사용방법
매월 농식품 바우처 카드를 이용 지정 사용처에서 지원품목 구입
문 의 처
해당 동주민센터 및 보건소 건강관리과(☎ 2199-8135)
농식품 바우처 홈페이지 주소 : www.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