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용산입니다

침수 피해 이렇게 대비하세요!

여름철은 잦은 폭우와 태풍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침수 시 대응 요령을 알아보고 안전한 여름 보내세요!
침수 시 이렇게 행동하세요!
지하공간에서

반지하주택, 지하 역사 상가 등에 있을 때 바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거나 하수구 역류 시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

지하주차장에서

지하주차장에 우수 유입 시 차량 이동은 위험합니다. 차량 확인을 위한 주차장 진입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침수 계단에서 탈출할 때

성인 종아리 높이(약 40㎝)까지 물이 차오르기 전, 신속히 이동합니다. 가급적 운동화를 착용하고, 마땅한 신발이 없다면 맨발로 탈출하세요. 장화는 안으로 물이 차기 때문에 대피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침수 공간에서 탈출할 때

외부 수심이 무릎 이상일 경우 혼자서 문을 열기 어렵습니다. 전기전원 차단 후 여러 명이 힘을 합쳐 문을 열고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탈출 가능 수심 확인 방법
수심 신체 위치 탈출 여부
남자 여자
30㎝ -
40㎝ 종아리 ×
(침수 계단 탈출 시 운동화 기준 가능)
50㎝ 무릎 × ×

※ 신체 위치는 일반 성인 기준 / 출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2022)

차량 이용 중 도로가 침수된다면
지하차도 진입 금지

물이 고이는 지하차도에는 절대 진입하면 안 됩니다. 이미 진입하였을 경우 차량을 두고 대피해야 합니다.

차량 침수 중에

타이어 ⅔가 잠기기 전,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고 침수된 경우 운전석 목받침 철재봉을 이용해 유리창을 깨고 대피하세요.

침수 차량에서 탈출할 때

유리창을 깨지 못한 경우 차량 내·외부 수위 차이가 30㎝ 이하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차량 문이 열리는 순간, 신속히 대피합니다.

강한 폭우 시 주행 금지

시간당 100㎜의 비가 내리면 100m 이상 거리 표지판 식별이 불가능합니다. 즉시 안전한 곳으로 차량을 옮기고 비가 약해질 때까지 대기합니다.

재난 발생 시 긴급연락처 안내
용산구 재난안전대책본부 2199-7900, fax 2199-5800
용산구 동주민센터
후암동 2199-8400 원효로1동 2199-8480
용산2가동 2199-8420 원효로2동 2199-8500
남영동 2199-8440 효창동 2199-8520
청파동 2199-8460 용문동 2199-8540
한강로동 2199-8560 이태원2동 2199-8640
이촌1동 2199-8580 한남동 2199-8660
이촌2동 2199-8600 서빙고동 2199-8680
이태원1동 2199-8620 보광동 2199-8700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119 안전신고센터 ☎ 119 가스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한국가스안전공사 ☎ 1544-4500 전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한국전력공사 ☎ 123 기상예보: 기상 콜센터 ☎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