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스팟

신비의 문자, 한글을 다시 보다
국립한글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과 인접해 있고, 용산가족공원과도 이어져 나들이 나온 이들에게 가까운 거리의 국립한글박물관, 하지만 가까이 있어도 관심 갖지 않았다면 그 심리적 거리는 멀다. 읽고 쓰기에 익숙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되는 한글, 과연 우리는 잘 알고 있을까? 잠시 국립한글박물관에 들러보자. 한글이 다시 보인다.
. 한경희 사진. 김인규
핫스팟-1.jpg
핫스팟-2.jpg
한글의 우수성, 과학성이 세계적으로 잘 알려졌다고는 하지만 정작 우리는 잘 모르고 쓰는 것이 사실이다. 어릴 적부터 배우고, 익혔기에 큰 감흥 없이 사용하고 있는 한글, 그러나 세계인들에게 한글은 세상에서 가장 신비롭고 경이로운 문자다. 영국의 역사 다큐멘터리 작가 존 맨은 그의 저서 「알파 베타(Alpha Beta)」에서 한글을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언어학 대학에서는 합리성, 과학성, 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세계 모든 언어를 대상으로 순위를 매겼는데 1위를 차지한 것이 자랑스럽게도 한글이었다. 미국 메릴랜드 대학에 있는 램지(Ramsey) 교수는 한글날에 학생들과 조촐한 자축연을 했다고 한다. 이렇게 멋진 문자가 나온 날을 축하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말이다. 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1년 중 꼭 하루 ‘한글날’만이라도 우리가 찾아가 볼 곳이 있다. 바로 국립한글박물관이다.
현재 국립한글박물관은 개관 이후 7년 만에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진행되고 있다. 12월 초 재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각종 흥미로운 전시가 이뤄질 상설전시실의 새로운 모습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그간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었던 고서나 귀한 한글 관련 유물들도 직접 만나볼 수 있다. 상설전시실 재개관 전 지면을 통해 이들 유물을 먼저 만나보자.
리모델링 후 공개될
국립한글박물관의 한글 고서와 유물들
곤전어필
핫스팟-3.jpg
효의왕후가 「「만석군전」, 「곽자의전」을 한글로 쓴 책
곤전어필(坤殿御筆) / 1794년 / 보물 제2087호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의 비 효의왕후(孝懿王后, 1753~1821)가 한문으로 된 「만석군전」, 「곽자의전」의 우리말 번역본을 한글로 쓴 책이다. 이 책의 발문에는 충성과 겸손의 본보기가 되는 만석군 석분, 곽자의의 이야기를 적어 내림으로써 가문의 평안과 발전을 바란다는 효의왕후의 뜻이 밝혀져 있다.
덕온공주물목
핫스팟-4.jpg
순원왕후가 덕온공주에게 준 혼수 물목 1837년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왕)의 비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가 막내딸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의 혼례를 위해 내린 물건을 한글로 쓴 목록이다. 혼례품 목록은 그 길이만도 장장 5미터가 넘고 장신구, 문방구, 그릇, 바느질 도구 등 온갖 생활용품이 두루 갖추어져 있다. 이를 통해 19세기 당시 사용된 ‘단쵸(단추)’, ‘공(공책)’, ‘팀 (바늘)’ 등 생활용품의 옛한글 표기를 살펴볼 수 있다.
말모이원고
핫스팟-5.jpg
우리말 사전 편찬을 위한 원고
말모이 원고 / 1910년대 / 보물 제2085호
주시경(周時經, 1876~1914)과 그의 제자들이 국어사전을 편찬하기 위해 쓴 원고이다. 240자 원고지에 붓글씨로 작성한 이 원고는 현재 올림말 ‘ㄱ’부터 ‘걀죽’까지만 남아 있다.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전문어 등을 포함한 언어사전의 성격을 지닌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이다.
송기주타자기
핫스팟-6.jpg
오늘날 전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
송기주 타자기 / 1934년 / 국가등록문화재 제771호 송미경, 송세영 기증
송기주(宋基柱, 1900~?)가 개발한 모아쓰기 한글 타자기이다. 송기주가 미국 유학 시절 언더우드사에서 만든 타자기에 한글 자판을 조립하여 만든 것이다. 그의 아들 송병훈이 피란길에 대구에서 우연히 구입한 것이 것으로 오늘날 전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가 되었다.
정조어필한글편지첩
핫스팟-7.jpg
정조가 큰외숙모에게 한글로 쓴 편지를 모은 첩
정조한글편지첩(正祖御札帖) / 1755(?)~1798년
정조(正祖, 조선 제22대 왕)가 큰외숙모 여흥 민씨에게 한글로 쓴 편지 14점을 모은 첩이다. 정조가 국동(國洞, 오늘날의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큰외숙모댁으로 보낸 편지들을 봉투와 함께 종이에 붙여 귀하게 보관한 것이다. 이 편지첩에는 정조가 10세이전에 썼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편지 4점이 포함되어 있다. 왕이 한글로 쓴 편지들을 모은 매우 드문 자료일 뿐만 아니라, 연령대에 따른 정조의 한글 필체 변화상을 살펴볼 수 있어 가치가 높다.
조선어 철자기
핫스팟-8.jpg
한글 학습을 위한 놀이 도구
조선어 철자기 / 1936년
발명가 최윤선(崔胤善, 1908~?)이 학생들의 한글 학습을 위해 만든 놀이 도구이다. <자음판>, <모음판>, <받침판>, <모음가림판>, <받침가림판>의 다섯 개 판으로 구성된 철자기를 돌려 가며 다양한 자모음의 조합을 학습하는 것이다.
핫스팟-9.jpg
<이미지 클릭 시 확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